부동산 가격분석/지가 수준

경기도 광주시 상세 용도지역별 지가 수준 - 2020년

세계사이버대학 부동산금융자산학과 2021. 5. 24. 08:26

202011일 현재 경기도 광주시에 있는 모든 토지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상세 용도지역별 당 표준지공시지가 가격수준을 집계하고 상호 비교한 표입니다. 아래의 경기 광주 지역 []는 국토교통부에서 감정평가사에게 의뢰하여 조사한 2020년 표준지공시지가 50만 필지를 분석한 결과입니다.

 

[3] 경기도 광주시 상세 용도지역별 공시지가 비교표

구분 평균공시지가 (/) 공시지가 순위 주거지역 대비 배수 공시 필지 수 ()
도시지역 주거지역 평균 1,366,629 6 1.000 319
  1종전용주거지역 - - - 0
2종전용주거지역 - - - 0
1종일반주거지역 703,490 8 0.515 256
2종일반주거지역 1,611,385 5 1.179 58
3종일반주거지역 1,874,446 4 1.372 5
준주거지역 2,046,446 3 1.497 37
상업지역 평균 2,670,572 2 1.954 31
  중심상업지역 - - - 0
일반상업지역 2,780,248 1 2.034 29
근린상업지역 - - - 0
유통상업지역 784,017 7 0.574 2
공업지역 평균 669,505 9 0.490 6
  전용공업지역 - - - 0
일반공업지역 669,505 9 0.490 6
준공업지역 - - - 0
녹지지역 평균 53,340 16 0.039 438
  보전녹지지역 48,825 17 0.036 21
생산녹지지역 293,894 11 0.215 15
자연녹지지역 281,448 12 0.206 156
개발제한구역 10,358 20 0.008 246
관리지역 평균 146,728 14 0.107 1,027
  보전관리지역 39,245 18 0.029 78
생산관리지역 100,808 15 0.074 149
계획관리지역 181,349 13 0.133 800
농림지역 13,410 19 0.010 160
자연환경보전지역 - - - 0

1) 평균공시지가 : 각 표준지의 면적을 가중치로 적용하여 계산한 가중평균값

2) 주거지역 대비 배율 : 용도지역별 평균공시지가 ÷ 주거지역 평균 공시지가

3) 용도지역 종류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36조 참조

 

이 부동산정보는 세계사이버대학 부동산금융자산학과 수업 과정에 포함된 부동산투자 실무 중 부동산시장 분석(지역분석) 등에 활용할 목적으로 작성한 것이며, 표에 포함된 각 지역의 위치는 첨부된 행정구역도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기타 표의 해석과 관련된 상세한 참고자료는 본 블로그 기초자료 메뉴에 등록했습니다.

 

[ 그림 ]  경기도 광주시 행정구역도 ( 법정동 ) (2020.1.1.  기준 )
[ 그림 ]  경기도 광주시 행정구역도 ( 행정동 ) (2020.1.1.  기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