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월 1일 현재 경기도 광주시 20개 읍면동에 소재한 토지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상 7개 대표적인 용도지역별로 ㎡당 표준지공시지가 가격수준을 집계한 표입니다. 아래의 경기 광주 지역 [표]는 국토교통부에서 감정평가사에게 의뢰하여 조사한 2020년 표준지공시지가 50만 필지를 분석한 결과이며, 각 용도지역별 가격수준은 용도지역별 표준지의 면적을 가중치로 적용하여 계산한 가중평균값입니다.
[표 4] 경기도 광주시 읍면동별 주요 용도지역별 공시지가 수준 대비표 (단위 : 천원/㎡)
읍면동명 | 도시지역 | 관리지역 | 농림지역 | 자연환경보전지역 | |||
주거지역 | 상업지역 | 공업지역 | 녹지지역 | ||||
경안동 | 2,695 | 4,002 | - | 131 | - | - | - |
목동 | - | - | 559 | - | 117 | 10 | - |
목현동 | - | - | 582 | 4 | 793 | 7 | - |
삼동 | - | - | 676 | 17 | 112 | - | - |
송정동 | 1,657 | 2,340 | 643 | 183 | 848 | - | - |
쌍령동 | 1,456 | - | 607 | 117 | - | - | - |
역동 | 1,878 | 2,810 | 1,620 | 371 | - | - | - |
장지동 | 861 | - | 746 | 330 | 528 | - | - |
중대동 | 2,200 | - | 763 | 825 | 1,067 | 69 | - |
직동 | - | - | 639 | 5 | 314 | 8 | - |
탄벌동 | 934 | - | 868 | 489 | 251 | 15 | - |
태전동 | 1,767 | 926 | 690 | 58 | 583 | 7 | - |
회덕동 | - | - | 596 | - | 385 | 15 | - |
곤지암읍 | 1,239 | 2,477 | 374 | 189 | 97 | 13 | - |
남종면 | 336 | 1,040 | - | 9 | - | - | - |
남한산성면 | 362 | - | 449 | 10 | - | - | - |
도척면 | 366 | - | 313 | 132 | 88 | 10 | - |
오포읍 | 1,087 | - | 591 | 200 | 210 | 19 | - |
초월읍 | 787 | - | 414 | 157 | 301 | 14 | - |
퇴촌면 | 445 | 1,129 | - | 30 | 134 | 5 | - |
주) 용도지역 종류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6조 참조
이 부동산정보는 세계사이버대학 부동산금융자산학과 수업 과정에 포함된 부동산투자 실무 중 부동산시장 분석(지역분석) 등에 활용할 목적으로 작성한 것이며, 표에 포함된 각 지역의 위치는 첨부된 행정구역도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기타 표의 해석과 관련된 상세한 참고자료는 본 블로그 기초자료 메뉴에 등록했습니다.
'부동산 가격분석 > 지가 수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광주시 읍면동별 토지이용상태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1.05.24 |
---|---|
경기도 광주시 상세 토지 이용 현황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1.05.24 |
경기도 광주시 상세 용도지역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1.05.24 |
경기도 광주시 읍면동별 지가 수준 및 전국 순위 - 2020년 (0) | 2021.05.24 |
경기도 광주시 읍면동별 지가 수준 및 전국 순위 - 2020년 (0) | 2021.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