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월 1일 현재 경기도 광명시 8개 읍면동에 소재한 토지를 현재의 토지 이용 현황별(7개 대분류)로 구분하여 평균한 ㎡당 표준지공시지가 가격수준을 집계한 표입니다. 아래의 경기 광명 지역 [표]는 국토교통부에서 감정평가사에게 의뢰하여 조사한 2020년 표준지공시지가 50만 필지를 분석한 결과입니다.
[표 6] 경기도 광명시 읍면동별 주요 토지이용용도별 공시지가 수준 대비표 (단위 : 천원/㎡)
읍면동명 | 주거용 | 상업용 | 주상용 | 공업용 | 농업용 | 임업용 | 기타 |
가학동 | 1,229 | 2,450 | - | 1,441 | 367 | 37 | - |
광명동 | 2,830 | 6,137 | 3,299 | 2,063 | 528 | 48 | - |
노온사동 | 1,242 | 1,950 | - | 1,483 | 332 | 51 | - |
소하동 | 2,883 | 4,490 | 2,776 | 1,305 | 630 | 25 | - |
옥길동 | 838 | - | 2,061 | 1,259 | 333 | 51 | - |
일직동 | 1,525 | 3,273 | 4,063 | 1,230 | 407 | 35 | - |
철산동 | 3,554 | 7,664 | 3,520 | 2,210 | 158 | 138 | - |
하안동 | 3,317 | 4,526 | 2,386 | - | 432 | 33 | - |
주1) 평균공시지가 : 각 표준지의 면적을 가중치로 적용하여 계산한 가중평균값
주2) 주상용 : “토지이용상황구분”표에서의 주ㆍ상복합용 토지를 말함
주3) 농업용 : “토지이용상황구분”표에서의 ‘전’과 ‘답’ 토지를 말함
주4) 기타 : “토지이용상황구분”표에서의 ‘특수토지’과 ‘공공용지 등’ 토지를 말함
주5) 토지이용상황구분 : 「2020년 표준지공시지가 조사ㆍ평가 업무요령」 기준
이 부동산정보는 세계사이버대학 부동산금융자산학과 수업 과정에 포함된 부동산투자 실무 중 부동산시장 분석(지역분석) 등에 활용할 목적으로 작성한 것이며, 표에 포함된 각 지역의 위치는 첨부된 행정구역도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기타 “토지이용상황구분”표 등 표의 해석과 관련된 상세한 참고자료는 본 블로그 기초자료 메뉴에 등록했습니다.
'부동산 가격분석 > 지가 수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광주시 읍면동별 지가 수준 및 전국 순위 - 2020년 (0) | 2021.05.24 |
---|---|
경기도 광주시 읍면동별 지가 수준 및 전국 순위 - 2020년 (0) | 2021.05.24 |
경기도 광명시 상세 토지 이용 현황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1.05.19 |
경기도 광명시 읍면동별 용도지역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1.05.19 |
경기도 광명시 상세 용도지역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1.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