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월 1일 현재 서울특별시 25개 시군구에 소재한 토지를 현재의 토지 이용 현황별(7개 대분류)로 구분하여 평균한 ㎡당 표준지공시지가 가격수준을 집계한 표입니다. 아래의 서울 지역 [표]는 국토교통부에서 감정평가사에게 의뢰하여 조사한 2020년 표준지공시지가 50만 필지를 분석한 결과입니다.
[표 6] 서울시 시군구별 주요 토지 이용 용도별 공시지가 수준 대비표
시군구명 |
주거용토지 |
주거용 토지 대비 배율 |
|||||
상업용 토지 |
주상용 토지 |
공업용 토지 |
농업용 토지 |
임업용 토지 |
기타 토지 |
||
강남구 |
11,108,577 |
1.93 |
0.81 |
0.14 |
0.09 |
0.01 |
0.06 |
강동구 |
6,403,496 |
1.50 |
0.87 |
- |
0.09 |
0.02 |
0.13 |
강북구 |
3,063,585 |
1.89 |
1.11 |
- |
0.06 |
0.03 |
0.04 |
강서구 |
3,994,773 |
1.21 |
0.94 |
0.48 |
0.07 |
0.04 |
0.42 |
관악구 |
3,759,473 |
2.27 |
1.35 |
- |
0.12 |
0.03 |
- |
광진구 |
5,185,580 |
1.34 |
1.01 |
- |
- |
0.01 |
0.23 |
구로구 |
3,616,415 |
1.56 |
2.27 |
0.92 |
0.12 |
0.03 |
0.31 |
금천구 |
3,355,449 |
1.58 |
0.97 |
1.00 |
0.12 |
0.04 |
0.60 |
노원구 |
3,235,070 |
1.78 |
1.26 |
- |
0.15 |
0.01 |
0.15 |
도봉구 |
3,024,588 |
1.64 |
1.03 |
0.98 |
0.12 |
0.02 |
0.12 |
동대문구 |
3,872,858 |
1.62 |
0.98 |
- |
- |
0.04 |
0.15 |
동작구 |
5,273,034 |
1.56 |
0.98 |
- |
- |
0.04 |
0.13 |
마포구 |
5,491,560 |
2.11 |
1.26 |
- |
- |
0.10 |
0.11 |
서대문구 |
4,199,193 |
2.49 |
1.05 |
- |
- |
0.02 |
0.08 |
서초구 |
13,002,703 |
1.04 |
0.55 |
0.18 |
0.04 |
0.01 |
0.64 |
성동구 |
5,819,160 |
1.84 |
1.11 |
1.13 |
- |
- |
0.11 |
성북구 |
3,572,074 |
1.90 |
1.17 |
- |
0.05 |
0.04 |
0.05 |
송파구 |
10,674,695 |
1.55 |
0.62 |
0.34 |
0.10 |
0.04 |
0.06 |
양천구 |
5,119,935 |
1.72 |
0.96 |
0.32 |
0.03 |
0.04 |
0.58 |
영등포구 |
4,912,647 |
2.02 |
0.85 |
0.80 |
- |
- |
0.12 |
용산구 |
7,573,377 |
1.83 |
1.58 |
- |
- |
0.05 |
0.35 |
은평구 |
4,047,031 |
1.74 |
1.02 |
- |
0.08 |
0.01 |
0.08 |
종로구 |
4,948,003 |
4.30 |
1.45 |
- |
0.03 |
0.02 |
0.21 |
중구 |
4,774,773 |
4.70 |
1.75 |
- |
- |
0.07 |
0.20 |
중랑구 |
3,214,383 |
1.65 |
1.12 |
0.47 |
0.15 |
0.02 |
0.48 |
주1) 평균공시지가 : 각 표준지의 면적을 가중치로 적용하여 계산한 가중평균값
주2) 주상용 : “토지이용상황구분”표에서의 주ㆍ상복합용 토지를 말함
주3) 농업용 : “토지이용상황구분”표에서의 ‘전’과 ‘답’ 토지를 말함
주4) 기타 : “토지이용상황구분”표에서의 ‘특수토지’과 ‘공공용지 등’ 토지를 말함
주5) 토지이용상황구분 : 「2020년 표준지공시지가 조사ㆍ평가 업무요령」 기준
주6) 주거용 토지 대비 배율 : 각 용도별 토지 평균공시지가 ÷ 주거용 토지 평균공시지가
이 부동산정보는 세계사이버대학 부동산금융자산학과 수업 과정에 포함된 부동산투자 실무 중 부동산시장 분석(지역분석) 등에 활용할 목적으로 작성한 것이며, 표에 포함된 각 지역의 위치는 첨부된 행정구역도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기타 “토지이용상황구분”표 등 표의 해석과 관련된 상세한 참고자료는 본 블로그 기초자료 메뉴에 등록했습니다.
'부동산 가격분석 > 지가 수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시 시군구별 대지 지가 수준 및 전국 순위 - 2020년 (0) | 2020.06.11 |
---|---|
부산시 시군구별 지가 수준 및 전국 순위 - 2020년 (0) | 2020.06.11 |
서울시 상세 토지 이용 현황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0.06.09 |
서울시 시군구별 용도지역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0.06.09 |
서울시 상세 용도지역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0.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