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월 1일 현재 서울특별시에 있는 모든 토지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상세 용도지역별 ㎡당 표준지공시지가 가격수준을 집계하고 상호 비교한 표입니다. 아래의 서울 지역 [표]는 국토교통부에서 감정평가사에게 의뢰하여 조사한 2020년 표준지공시지가 50만 필지를 분석한 결과입니다.
[표 3] 서울시 상세 용도지역별 공시지가 비교표
구분 |
평균공시지가 (원/㎡) |
공시지가 순위 |
주거지역 대비 배수 |
공시 필지 수 (필) |
||
도시지역 |
주거지역 평균 |
5,690,081 |
8 |
1.000 |
22,270 |
|
|
제1종전용주거지역 |
3,537,777 |
13 |
0.622 |
347 |
|
제2종전용주거지역 |
4,259,585 |
12 |
0.749 |
4 |
||
제1종일반주거지역 |
1,422,106 |
16 |
0.250 |
2,180 |
||
제2종일반주거지역 |
5,239,394 |
9 |
0.921 |
14,753 |
||
제3종일반주거지역 |
7,949,098 |
5 |
1.397 |
4,986 |
||
준주거지역 |
7,854,314 |
6 |
1.380 |
1,774 |
||
상업지역 평균 |
20,375,869 |
3 |
3.581 |
3,367 |
||
|
중심상업지역 |
61,426,198 |
1 |
10.795 |
85 |
|
일반상업지역 |
21,465,857 |
2 |
3.773 |
3,114 |
||
근린상업지역 |
9,431,623 |
4 |
1.658 |
159 |
||
유통상업지역 |
6,656,613 |
7 |
1.170 |
9 |
||
공업지역 평균 |
4,292,213 |
10 |
0.754 |
836 |
||
|
전용공업지역 |
- |
- |
- |
0 |
|
일반공업지역 |
- |
- |
- |
0 |
||
준공업지역 |
4,292,213 |
10 |
0.754 |
836 |
||
녹지지역 평균 |
686,075 |
18 |
0.121 |
905 |
||
|
보전녹지지역 |
3,250,000 |
14 |
0.571 |
1 |
|
생산녹지지역 |
1,652,876 |
15 |
0.290 |
4 |
||
자연녹지지역 |
1,013,494 |
17 |
0.178 |
277 |
||
개발제한구역 |
404,910 |
19 |
0.071 |
623 |
||
관리지역 |
평균 |
- |
- |
- |
0 |
|
|
보전관리지역 |
- |
- |
- |
0 |
|
생산관리지역 |
- |
- |
- |
0 |
||
계획관리지역 |
- |
- |
- |
0 |
||
농림지역 |
- |
- |
- |
0 |
||
자연환경보전지역 |
- |
- |
- |
0 |
주1) 평균공시지가 : 각 표준지의 면적을 가중치로 적용하여 계산한 가중평균값
주2) 주거지역 대비 배율 : 용도지역별 평균공시지가 ÷ 주거지역 평균 공시지가
주3) 용도지역 종류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6조 참조
이 부동산정보는 세계사이버대학 부동산금융자산학과 수업 과정에 포함된 부동산투자 실무 중 부동산시장 분석(지역분석) 등에 활용할 목적으로 작성한 것이며, 표에 포함된 각 지역의 위치는 첨부된 행정구역도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기타 표의 해석과 관련된 상세한 참고자료는 본 블로그 기초자료 메뉴에 등록했습니다.
'부동산 가격분석 > 지가 수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상세 토지 이용 현황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0.06.09 |
---|---|
서울시 시군구별 용도지역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0.06.09 |
서울시 시군구별 대지 지가 수준 및 전국 순위 - 2020년 (0) | 2020.06.09 |
서울시 시군구별 지가 수준 및 전국 순위 - 2020년 (0) | 2020.06.09 |
전국 시도 토지이용상태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0.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