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월 1일 현재 우리나라에 있는 모든 토지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상세 용도지역별 ㎡당 표준지공시지가 가격수준을 집계하고 상호 비교한 표입니다. 아래의 [표]는 국토교통부에서 감정평가사에게 의뢰하여 조사한 2020년 표준지공시지가 50만 필지를 분석한 결과입니다.
[ 표 ] 전국 상세 용도지역별 공시지가 비교표
구분 |
평균공시지가 (원/㎡) |
순위 |
주거지역 대비 배수 |
공시 필지 수 (필) |
||
도시지역 |
주거지역 평균 |
1,924,649 |
8 |
1.000 |
110,137 |
|
|
제1종전용주거지역 |
1,436,866 |
11 |
0.747 |
1,455 |
|
제2종전용주거지역 |
1,461,169 |
10 |
0.759 |
239 |
||
제1종일반주거지역 |
671,070 |
13 |
0.349 |
30,636 |
||
제2종일반주거지역 |
1,593,962 |
9 |
0.828 |
64,951 |
||
제3종일반주거지역 |
2,905,851 |
4 |
1.510 |
12,856 |
||
준주거지역 |
2,156,297 |
6 |
1.120 |
11,123 |
||
상업지역 평균 |
4,901,001 |
3 |
2.546 |
33,527 |
||
|
중심상업지역 |
5,548,171 |
1 |
2.883 |
2,027 |
|
일반상업지역 |
5,316,246 |
2 |
2.762 |
29,870 |
||
근린상업지역 |
2,619,460 |
5 |
1.361 |
1,455 |
||
유통상업지역 |
1,967,479 |
7 |
1.022 |
175 |
||
공업지역 평균 |
395,687 |
14 |
0.206 |
7,311 |
||
|
전용공업지역 |
180,043 |
16 |
0.094 |
191 |
|
일반공업지역 |
316,077 |
15 |
0.164 |
3,893 |
||
준공업지역 |
1,039,653 |
12 |
0.540 |
3,227 |
||
녹지지역 평균 |
90,202 |
18 |
0.047 |
71,069 |
||
|
보전녹지지역 |
23,568 |
23 |
0.012 |
4,234 |
|
생산녹지지역 |
89,489 |
19 |
0.046 |
7,890 |
||
자연녹지지역 |
115,976 |
17 |
0.060 |
43,265 |
||
개발제한구역 |
71,917 |
20 |
0.037 |
15,680 |
||
관리지역 |
평균 |
32,984 |
22 |
0.017 |
185,733 |
|
|
보전관리지역 |
10,119 |
25 |
0.005 |
31,653 |
|
생산관리지역 |
17,945 |
24 |
0.009 |
38,141 |
||
계획관리지역 |
48,961 |
21 |
0.025 |
115,860 |
||
농림지역 |
5,750 |
26 |
0.003 |
73,952 |
||
자연환경보전지역 |
5,165 |
27 |
0.003 |
7,023 |
주1) 평균공시지가 : 각 표준지의 면적을 가중치로 적용하여 계산한 가중평균값
주2) 주거지역 대비 배율 : 용도지역별 평균공시지가 ÷ 주거지역 평균 공시지가
주3) 용도지역 종류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6조 참조
이 부동산정보는 세계사이버대학 부동산금융자산학과 수업 과정에 포함된 부동산투자 실무 중 부동산시장 분석(지역분석) 등에 활용할 목적으로 작성한 것이며, 표에 포함된 각 지역의 위치는 첨부된 행정구역도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기타 표의 해석과 관련된 상세한 참고자료는 본 블로그 기초자료 메뉴에 등록했습니다.
'부동산 가격분석 > 지가 수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국 상세 토지 이용 현황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0.06.08 |
---|---|
전국 시도 용도지역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0.06.08 |
전국 시도별 대지 지가 수준 및 전국 순위 - 2020년 (0) | 2020.06.08 |
전국 시도별 지가 수준 및 전국 순위 - 2020년 (0) | 2020.06.08 |
2019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읍면동별 지가 수준 및 전국 순위 (0) | 2020.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