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월 1일 현재 전라남도에 있는 22개 시군구별 토지 중 4개 주요 지목 토지의 ㎡당 표준지공시지가 가격수준표입니다. 전남 지역 지가수준 정보는 국토교통부에서 감정평가사에게 의뢰하여 조사한 2021년 표준지공시지가 중 지목이 대, 전, 답, 임야인 토지(499,249필지)를 별도로 분석한 결과입니다.
[표 2] 전라남도 토지 지목별 평균 표준지공시지가 수준 (단위 : 천원/㎡)
지역명 | 전체 토지 공시지가 | 지목별 공시지가 | |||
대 | 전 | 답 | 임야 | ||
광양시 | 52.8 | 333.0 | 33.3 | 46.2 | 4.5 |
나주시 | 51.9 | 465.7 | 26.2 | 22.6 | 3.5 |
목포시 | 267.1 | 510.9 | 71.3 | 87.9 | 12.3 |
순천시 | 36.8 | 510.2 | 24.1 | 30.3 | 2.3 |
여수시 | 83.8 | 522.2 | 39.5 | 43.2 | 4.7 |
강진군 | 7.7 | 85.0 | 7.3 | 11.0 | 0.8 |
고흥군 | 7.0 | 68.2 | 7.3 | 10.5 | 1.0 |
곡성군 | 5.6 | 79.1 | 9.5 | 12.6 | 0.7 |
구례군 | 12.6 | 133.7 | 14.3 | 18.5 | 1.0 |
담양군 | 16.9 | 155.0 | 26.0 | 28.8 | 2.7 |
무안군 | 41.7 | 249.7 | 18.0 | 17.3 | 3.9 |
보성군 | 5.6 | 72.9 | 9.2 | 10.1 | 0.9 |
신안군 | 5.4 | 24.1 | 8.5 | 7.5 | 1.2 |
영광군 | 14.5 | 74.0 | 9.1 | 9.3 | 1.0 |
영암군 | 16.6 | 120.4 | 16.1 | 12.0 | 2.6 |
완도군 | 6.2 | 108.6 | 7.3 | 7.9 | 0.8 |
장성군 | 17.2 | 106.0 | 25.2 | 26.3 | 2.7 |
장흥군 | 7.0 | 79.6 | 8.4 | 11.2 | 0.8 |
진도군 | 6.0 | 94.6 | 6.5 | 6.7 | 0.9 |
함평군 | 14.0 | 75.4 | 9.6 | 11.8 | 2.1 |
해남군 | 10.2 | 104.0 | 12.1 | 8.8 | 1.5 |
화순군 | 9.5 | 161.6 | 17.6 | 23.1 | 0.9 |
주1) 전체 평균 : 전체 표준지의 평균 공시지가
주2) 대 :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부속 토지인 대지를 의미함(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58조 참조)
주3) 나머지 3개 지목(전, 답, 임야)의 공시지가는 표준지 중 각 지목별 평균 공시지가임
이 부동산정보는 세계사이버대학 부동산금융자산학과 수업 과정에 포함된 부동산투자 실무 중 부동산시장 분석(지역분석) 등에 활용할 목적으로 작성한 것이며, 표에 포함된 각 지역의 위치는 첨부된 행정구역도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기타 표의 해석과 관련된 상세한 참고자료는 본 블로그 기초자료 메뉴에 등록했습니다.

'부동산 가격분석 > 지가 수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전라남도 시군구별 토지이용상태별 지가 수준 (0) | 2022.04.26 |
---|---|
2021년 전라남도 시군구별 용도지역별 지가 수준 (0) | 2022.04.26 |
2021년 전라남도 시군구별 지가 수준 및 전국 순위 (0) | 2022.04.26 |
2021년 전라북도 시군구별 토지이용상태별 지가 수준 (0) | 2022.04.25 |
2021년 전라북도 시군구별 용도지역별 지가 수준 (0) | 2022.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