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월 1일 현재 전라북도 15개 시군구에 소재한 토지를 현재의 토지 이용 현황별(7개 대분류)로 구분하여 평균한 ㎡당 표준지공시지가 가격수준을 집계한 표입니다. 아래의 전북 지역 [표]는 국토교통부에서 감정평가사에게 의뢰하여 조사한 2021년 표준지공시지가 52만 필지를 분석한 결과입니다.
[표 4] 전북 시군구별 주요 토지 이용 용도별 공시지가 수준 대비표
지역명 | 주거용 | 상업용 | 주상용 | 공업용 | 농업용 | 임업용 | 기타 |
군산시 | 320.3 | 623.2 | 454.9 | 102.6 | 33.4 | 12.4 | 96.7 |
김제시 | 64.2 | 233.3 | 206.5 | 51.5 | 16.9 | 6.4 | 48.0 |
남원시 | 80.5 | 419.0 | 186.0 | 37.7 | 13.0 | 1.7 | 48.9 |
익산시 | 167.5 | 551.8 | 396.4 | 87.2 | 21.8 | 9.5 | 257.6 |
전주시 덕진구 | 628.4 | 1,021.4 | 593.6 | 208.3 | 86.8 | 20.2 | 1,065.0 |
전주시 완산구 | 728.4 | 1,541.2 | 826.6 | 242.0 | 110.0 | 14.5 | - |
정읍시 | 75.7 | 340.9 | 260.4 | 37.6 | 12.8 | 2.1 | 53.4 |
고창군 | 34.3 | 218.8 | 152.0 | 25.0 | 9.4 | 1.8 | 57.2 |
무주군 | 88.9 | 338.7 | 320.9 | 40.0 | 15.4 | 0.8 | 58.3 |
부안군 | 62.6 | 291.1 | 277.2 | 30.0 | 19.6 | 4.2 | 33.1 |
순창군 | 29.8 | 186.0 | 194.8 | 25.0 | 9.5 | 0.8 | 92.3 |
완주군 | 198.4 | 647.3 | 314.1 | 113.0 | 33.8 | 2.2 | 39.1 |
임실군 | 49.2 | 198.8 | 167.8 | 49.9 | 11.1 | 1.3 | 195.3 |
장수군 | 35.6 | 212.5 | 177.9 | 21.6 | 10.3 | 0.6 | 39.5 |
진안군 | 35.8 | 232.0 | 281.1 | 25.3 | 11.1 | 0.8 | 69.4 |
주1) 주상용 : “토지이용상황구분”표에서의 주ㆍ상복합용 토지를 말함
주2) 농업용 : “토지이용상황구분”표에서의 ‘전’과 ‘답’ 토지를 말함
주3) 기타 : “토지이용상황구분”표에서의 ‘특수토지’과 ‘공공용지 등’ 토지를 말함
주4) 토지이용상황구분 : 「2021년 표준지공시지가 조사ㆍ평가 업무요령」
이 부동산정보는 세계사이버대학 부동산금융자산학과 수업 과정에 포함된 부동산투자 실무 중 부동산시장 분석(지역분석) 등에 활용할 목적으로 작성한 것이며, 표에 포함된 각 지역의 위치는 첨부된 행정구역도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기타 “토지이용상황구분”표 등 표의 해석과 관련된 상세한 참고자료는 본 블로그 기초자료 메뉴에 등록했습니다.

'부동산 가격분석 > 지가 수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전라남도 시군구 토지 주요 지목별 지가 수준 (0) | 2022.04.26 |
---|---|
2021년 전라남도 시군구별 지가 수준 및 전국 순위 (0) | 2022.04.26 |
2021년 전라북도 시군구별 용도지역별 지가 수준 (0) | 2022.04.25 |
2021년 전라북도 시군구 토지 주요 지목별 지가 수준 (0) | 2022.04.25 |
2021년 전라북도 시군구별 지가 수준 및 전국 순위 (0) | 2022.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