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월 1일 현재 대구광역시 동구에 있는 모든 토지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상세 용도지역별 ㎡당 표준지공시지가 가격수준을 집계하고 상호 비교한 표입니다. 아래의 대구 동구 지역 [표]는 국토교통부에서 감정평가사에게 의뢰하여 조사한 2020년 표준지공시지가 50만 필지를 분석한 결과입니다.
[표 3] 대구시 동구 상세 용도지역별 공시지가 비교표
구분 |
평균공시지가 (원/㎡) |
공시지가 순위 |
주거지역 대비 배수 |
공시 필지 수 (필) |
||
도시지역 |
주거지역 평균 |
1,209,042 |
6 |
1.000 |
1,093 |
|
|
제1종전용주거지역 |
855,902 |
12 |
0.708 |
11 |
|
제2종전용주거지역 |
- |
- |
- |
0 |
||
제1종일반주거지역 |
490,987 |
13 |
0.406 |
271 |
||
제2종일반주거지역 |
1,181,210 |
7 |
0.977 |
431 |
||
제3종일반주거지역 |
1,401,844 |
5 |
1.159 |
380 |
||
준주거지역 |
1,006,846 |
9 |
0.833 |
281 |
||
상업지역 평균 |
2,308,323 |
2 |
1.909 |
370 |
||
|
중심상업지역 |
3,316,354 |
1 |
2.743 |
194 |
|
일반상업지역 |
2,123,190 |
4 |
1.756 |
84 |
||
근린상업지역 |
2,248,644 |
3 |
1.860 |
84 |
||
유통상업지역 |
894,677 |
11 |
0.740 |
8 |
||
공업지역 평균 |
920,658 |
10 |
0.761 |
18 |
||
|
전용공업지역 |
- |
- |
- |
0 |
|
일반공업지역 |
1,027,136 |
8 |
0.850 |
16 |
||
준공업지역 |
406,045 |
14 |
0.336 |
2 |
||
녹지지역 평균 |
74,241 |
17 |
0.061 |
629 |
||
|
보전녹지지역 |
23,922 |
20 |
0.020 |
61 |
|
생산녹지지역 |
254,494 |
15 |
0.210 |
9 |
||
자연녹지지역 |
197,407 |
16 |
0.163 |
202 |
||
개발제한구역 |
55,671 |
18 |
0.046 |
357 |
||
관리지역 |
평균 |
- |
- |
- |
0 |
|
|
보전관리지역 |
- |
- |
- |
0 |
|
생산관리지역 |
- |
- |
- |
0 |
||
계획관리지역 |
- |
- |
- |
0 |
||
농림지역 |
- |
- |
- |
0 |
||
자연환경보전지역 |
30,906 |
19 |
0.026 |
56 |
주1) 평균공시지가 : 각 표준지의 면적을 가중치로 적용하여 계산한 가중평균값
주2) 주거지역 대비 배율 : 용도지역별 평균공시지가 ÷ 주거지역 평균 공시지가
주3) 용도지역 종류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6조 참조
이 부동산정보는 세계사이버대학 부동산금융자산학과 수업 과정에 포함된 부동산투자 실무 중 부동산시장 분석(지역분석) 등에 활용할 목적으로 작성한 것이며, 표에 포함된 각 지역의 위치는 첨부된 행정구역도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기타 표의 해석과 관련된 상세한 참고자료는 본 블로그 기초자료 메뉴에 등록했습니다.
'부동산 가격분석 > 지가 수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시 동구 상세 토지 이용 현황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0.09.25 |
---|---|
대구시 동구 읍면동별 용도지역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0.09.25 |
대구시 동구 읍면동별 지가 수준 및 전국 순위 - 2020년 (0) | 2020.09.25 |
대구시 동구 읍면동별 지가 수준 및 전국 순위 - 2020년 (0) | 2020.09.25 |
대구시 달서구 읍면동별 토지이용상태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0.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