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월 1일 현재 경상남도에 있는 모든 토지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상세 용도지역별 ㎡당 표준지공시지가 가격수준을 집계하고 상호 비교한 표입니다. 아래의 경남 지역 [표]는 국토교통부에서 감정평가사에게 의뢰하여 조사한 2020년 표준지공시지가 50만 필지를 분석한 결과입니다.
[표 3] 경남 상세 용도지역별 공시지가 비교표
구분 |
평균공시지가 (원/㎡) |
공시지가 순위 |
주거지역 대비 배수 |
공시 필지 수 (필) |
||
도시지역 |
주거지역 평균 |
655,605 |
10 |
1.000 |
9,125 |
|
|
제1종전용주거지역 |
887,120 |
9 |
1.353 |
478 |
|
제2종전용주거지역 |
1,082,757 |
6 |
1.652 |
57 |
||
제1종일반주거지역 |
358,398 |
13 |
0.547 |
2,773 |
||
제2종일반주거지역 |
570,391 |
11 |
0.870 |
5,441 |
||
제3종일반주거지역 |
900,017 |
8 |
1.373 |
376 |
||
준주거지역 |
933,729 |
7 |
1.424 |
590 |
||
상업지역 평균 |
1,358,898 |
3 |
2.073 |
3,050 |
||
|
중심상업지역 |
1,677,255 |
1 |
2.558 |
38 |
|
일반상업지역 |
1,361,520 |
2 |
2.077 |
2,914 |
||
근린상업지역 |
1,146,474 |
5 |
1.749 |
66 |
||
유통상업지역 |
1,173,518 |
4 |
1.790 |
32 |
||
공업지역 평균 |
352,990 |
14 |
0.538 |
918 |
||
|
전용공업지역 |
- |
- |
- |
0 |
|
일반공업지역 |
335,926 |
15 |
0.512 |
636 |
||
준공업지역 |
526,002 |
12 |
0.802 |
282 |
||
녹지지역 평균 |
37,725 |
20 |
0.058 |
8,100 |
||
|
보전녹지지역 |
7,779 |
23 |
0.012 |
801 |
|
생산녹지지역 |
67,929 |
16 |
0.104 |
1,127 |
||
자연녹지지역 |
46,512 |
17 |
0.071 |
4,719 |
||
개발제한구역 |
37,885 |
19 |
0.058 |
1,453 |
||
관리지역 |
평균 |
27,049 |
21 |
0.041 |
26,276 |
|
|
보전관리지역 |
5,293 |
25 |
0.008 |
4,906 |
|
생산관리지역 |
15,602 |
22 |
0.024 |
5,384 |
||
계획관리지역 |
45,276 |
18 |
0.069 |
15,983 |
||
농림지역 |
5,109 |
26 |
0.008 |
10,049 |
||
자연환경보전지역 |
6,623 |
24 |
0.010 |
1,458 |
주1) 평균공시지가 : 각 표준지의 면적을 가중치로 적용하여 계산한 가중평균값
주2) 주거지역 대비 배율 : 용도지역별 평균공시지가 ÷ 주거지역 평균 공시지가
주3) 용도지역 종류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6조 참조
이 부동산정보는 세계사이버대학 부동산금융자산학과 수업 과정에 포함된 부동산투자 실무 중 부동산시장 분석(지역분석) 등에 활용할 목적으로 작성한 것이며, 표에 포함된 각 지역의 위치는 첨부된 행정구역도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기타 표의 해석과 관련된 상세한 참고자료는 본 블로그 기초자료 메뉴에 등록했습니다.
'부동산 가격분석 > 지가 수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남도 상세 토지 이용 현황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0.06.24 |
---|---|
경상남도 시군구별 용도지역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0.06.24 |
경상남도 시군구별 대지 지가 수준 및 전국 순위 - 2020년 (0) | 2020.06.24 |
경상남도 시군구별 지가 수준 및 전국 순위 - 2020년 (0) | 2020.06.24 |
경상북도 시군구별 토지이용상태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0.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