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월 1일 현재 대구광역시에 있는 모든 토지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상세 용도지역별 ㎡당 표준지공시지가 가격수준을 집계하고 상호 비교한 표입니다. 아래의 대구 지역 [표]는 국토교통부에서 감정평가사에게 의뢰하여 조사한 2020년 표준지공시지가 50만 필지를 분석한 결과입니다.
[표 3] 대구시 상세 용도지역별 공시지가 비교표
구분 |
평균공시지가 (원/㎡) |
공시지가 순위 |
주거지역 대비 배수 |
공시 필지 수 (필) |
||
도시지역 |
주거지역 평균 |
1,371,611 |
7 |
1.000 |
6,618 |
|
|
제1종전용주거지역 |
693,114 |
11 |
0.505 |
31 |
|
제2종전용주거지역 |
589,775 |
13 |
0.430 |
2 |
||
제1종일반주거지역 |
904,734 |
10 |
0.660 |
1,886 |
||
제2종일반주거지역 |
1,165,627 |
9 |
0.850 |
3,511 |
||
제3종일반주거지역 |
1,647,828 |
5 |
1.201 |
1,188 |
||
준주거지역 |
1,289,959 |
8 |
0.940 |
891 |
||
상업지역 평균 |
2,542,973 |
2 |
1.854 |
2,255 |
||
|
중심상업지역 |
3,522,418 |
1 |
2.568 |
1,094 |
|
일반상업지역 |
2,224,404 |
4 |
1.622 |
514 |
||
근린상업지역 |
2,462,881 |
3 |
1.796 |
619 |
||
유통상업지역 |
1,589,812 |
6 |
1.159 |
28 |
||
공업지역 평균 |
572,102 |
14 |
0.417 |
432 |
||
|
전용공업지역 |
- |
- |
- |
0 |
|
일반공업지역 |
539,680 |
15 |
0.393 |
288 |
||
준공업지역 |
647,919 |
12 |
0.472 |
144 |
||
녹지지역 평균 |
64,218 |
18 |
0.047 |
2,776 |
||
|
보전녹지지역 |
10,448 |
21 |
0.008 |
111 |
|
생산녹지지역 |
167,158 |
16 |
0.122 |
125 |
||
자연녹지지역 |
161,719 |
17 |
0.118 |
1,094 |
||
개발제한구역 |
30,840 |
19 |
0.022 |
1,446 |
||
관리지역 |
평균 |
- |
- |
- |
0 |
|
|
보전관리지역 |
- |
- |
- |
0 |
|
생산관리지역 |
- |
- |
- |
0 |
||
계획관리지역 |
- |
- |
- |
0 |
||
농림지역 |
707 |
22 |
0.001 |
17 |
||
자연환경보전지역 |
25,718 |
20 |
0.019 |
67 |
주1) 평균공시지가 : 각 표준지의 면적을 가중치로 적용하여 계산한 가중평균값
주2) 주거지역 대비 배율 : 용도지역별 평균공시지가 ÷ 주거지역 평균 공시지가
주3) 용도지역 종류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6조 참조
이 부동산정보는 세계사이버대학 부동산금융자산학과 수업 과정에 포함된 부동산투자 실무 중 부동산시장 분석(지역분석) 등에 활용할 목적으로 작성한 것이며, 표에 포함된 각 지역의 위치는 첨부된 행정구역도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기타 표의 해석과 관련된 상세한 참고자료는 본 블로그 기초자료 메뉴에 등록했습니다.
'부동산 가격분석 > 지가 수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시 상세 토지 이용 현황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0.06.12 |
---|---|
대구시 시군구별 용도지역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0.06.12 |
대구시 시군구별 대지 지가 수준 및 전국 순위 - 2020년 (0) | 2020.06.12 |
대구시 시군구별 지가 수준 및 전국 순위 - 2020년 (0) | 2020.06.12 |
부산시 시군구별 토지이용상태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0.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