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월 1일 현재 경상북도에 있는 24개 시군구별 토지 중 4개 주요 지목 토지의 ㎡당 표준지공시지가 가격수준표입니다. 경북 지역 지가수준 정보는 국토교통부에서 감정평가사에게 의뢰하여 조사한 2021년 표준지공시지가 중 지목이 대, 전, 답, 임야인 토지(499,249필지)를 별도로 분석한 결과입니다.
[표 2] 경상북도 토지 지목별 평균 표준지공시지가 수준 (단위 : 천원/㎡)
지역명 | 전체 토지 공시지가 | 지목별 공시지가 | |||
대 | 전 | 답 | 임야 | ||
경산시 | 132.9 | 891.8 | 90.0 | 89.9 | 5.3 |
경주시 | 48.5 | 343.6 | 51.3 | 42.7 | 6.2 |
구미시 | 74.4 | 634.6 | 47.5 | 55.0 | 5.5 |
김천시 | 20.5 | 413.0 | 24.6 | 26.1 | 1.2 |
문경시 | 18.4 | 206.4 | 18.2 | 24.0 | 1.1 |
상주시 | 12.8 | 160.8 | 14.8 | 19.8 | 1.0 |
안동시 | 19.6 | 307.7 | 18.4 | 25.6 | 1.3 |
영주시 | 21.0 | 273.1 | 21.6 | 22.5 | 2.1 |
영천시 | 21.0 | 346.3 | 37.4 | 43.8 | 1.8 |
포항시 남구 | 94.0 | 591.8 | 63.5 | 54.9 | 5.4 |
포항시 북구 | 73.2 | 713.0 | 38.8 | 42.2 | 7.8 |
고령군 | 25.2 | 212.6 | 40.9 | 42.9 | 1.7 |
군위군 | 13.9 | 149.8 | 17.9 | 25.5 | 3.4 |
봉화군 | 4.9 | 75.9 | 8.9 | 12.5 | 0.7 |
성주군 | 13.3 | 158.7 | 25.3 | 25.9 | 1.3 |
영덕군 | 10.1 | 180.2 | 17.3 | 21.0 | 1.3 |
영양군 | 5.7 | 81.3 | 9.1 | 13.1 | 0.4 |
예천군 | 20.1 | 344.6 | 13.5 | 17.9 | 1.1 |
울릉군 | 34.0 | 499.7 | 35.0 | 91.8 | 1.4 |
울진군 | 19.8 | 180.8 | 14.6 | 15.1 | 1.3 |
의성군 | 6.6 | 86.7 | 11.4 | 14.6 | 1.3 |
청도군 | 11.0 | 152.7 | 33.5 | 36.2 | 1.2 |
청송군 | 5.8 | 99.1 | 11.4 | 15.7 | 0.4 |
칠곡군 | 45.8 | 360.5 | 66.8 | 72.0 | 3.3 |
주1) 전체 평균 : 전체 표준지의 평균 공시지가
주2) 대 :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부속 토지인 대지를 의미함(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58조 참조)
주3) 나머지 3개 지목(전, 답, 임야)의 공시지가는 표준지 중 각 지목별 평균 공시지가임
이 부동산정보는 세계사이버대학 부동산금융자산학과 수업 과정에 포함된 부동산투자 실무 중 부동산시장 분석(지역분석) 등에 활용할 목적으로 작성한 것이며, 표에 포함된 각 지역의 위치는 첨부된 행정구역도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기타 표의 해석과 관련된 상세한 참고자료는 본 블로그 기초자료 메뉴에 등록했습니다.

'부동산 가격분석 > 지가 수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경상북도 시군구별 토지이용상태별 지가 수준 (0) | 2022.04.29 |
---|---|
2021년 경상북도 시군구별 용도지역별 지가 수준 (0) | 2022.04.29 |
2021년 경상북도 시군구별 지가 수준 및 전국 순위 (0) | 2022.04.29 |
2021년 전라남도 시군구별 토지이용상태별 지가 수준 (0) | 2022.04.26 |
2021년 전라남도 시군구별 용도지역별 지가 수준 (0) | 2022.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