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월 1일 현재 경기도 가평군에 있는 모든 토지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상세 용도지역별 ㎡당 표준지공시지가 가격수준을 집계하고 상호 비교한 표입니다. 아래의 경기 가평 지역 [표]는 국토교통부에서 감정평가사에게 의뢰하여 조사한 2020년 표준지공시지가 50만 필지를 분석한 결과입니다.
[표 3] 경기도 가평군 상세 용도지역별 공시지가 비교표
구분 | 평균공시지가 (원/㎡) | 공시지가 순위 | 주거지역 대비 배수 | 공시 필지 수 (필) | ||
도시지역 | 주거지역 평균 | 345,269 | 6 | 1.000 | 197 | |
제1종전용주거지역 | 500,000 | 4 | 1.448 | 1 | ||
제2종전용주거지역 | - | - | - | 0 | ||
제1종일반주거지역 | 271,950 | 7 | 0.788 | 38 | ||
제2종일반주거지역 | 379,653 | 5 | 1.100 | 158 | ||
제3종일반주거지역 | - | - | - | 0 | ||
준주거지역 | 682,490 | 3 | 1.977 | 9 | ||
상업지역 평균 | 1,089,425 | 1 | 3.155 | 71 | ||
중심상업지역 | - | - | - | 0 | ||
일반상업지역 | 1,089,425 | 1 | 3.155 | 71 | ||
근린상업지역 | - | - | - | 0 | ||
유통상업지역 | - | - | - | 0 | ||
공업지역 평균 | 92,000 | 9 | 0.266 | 1 | ||
전용공업지역 | - | - | - | 0 | ||
일반공업지역 | 92,000 | 9 | 0.266 | 1 | ||
준공업지역 | - | - | - | 0 | ||
녹지지역 평균 | 26,953 | 14 | 0.078 | 273 | ||
보전녹지지역 | - | - | - | 0 | ||
생산녹지지역 | 95,767 | 8 | 0.277 | 18 | ||
자연녹지지역 | 25,849 | 15 | 0.075 | 255 | ||
개발제한구역 | - | - | - | 0 | ||
관리지역 | 평균 | 46,381 | 12 | 0.134 | 1,151 | |
보전관리지역 | 17,938 | 16 | 0.052 | 229 | ||
생산관리지역 | 38,268 | 13 | 0.111 | 97 | ||
계획관리지역 | 59,488 | 11 | 0.172 | 825 | ||
농림지역 | 3,173 | 18 | 0.009 | 233 | ||
자연환경보전지역 | 14,926 | 17 | 0.043 | 17 |
주1) 평균공시지가 : 각 표준지의 면적을 가중치로 적용하여 계산한 가중평균값
주2) 주거지역 대비 배율 : 용도지역별 평균공시지가 ÷ 주거지역 평균 공시지가
주3) 용도지역 종류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6조 참조
이 부동산정보는 세계사이버대학 부동산금융자산학과 수업 과정에 포함된 부동산투자 실무 중 부동산시장 분석(지역분석) 등에 활용할 목적으로 작성한 것이며, 표에 포함된 각 지역의 위치는 첨부된 행정구역도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기타 표의 해석과 관련된 상세한 참고자료는 본 블로그 기초자료 메뉴에 등록했습니다.

'부동산 가격분석 > 지가 수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가평군 상세 토지 이용 현황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2.01.24 |
---|---|
경기도 가평군 읍면동별 용도지역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2.01.24 |
경기도 가평군 읍면동별 지가 수준 및 전국 순위 - 2020년 (0) | 2022.01.24 |
경기도 가평군 읍면동별 지가 수준 및 전국 순위 - 2020년 (0) | 2022.01.24 |
경기도 화성시 읍면동별 토지이용상태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2.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