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월 1일 현재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32개 읍면동에 소재한 토지를 현재의 토지 이용 현황별(7개 대분류)로 구분하여 평균한 ㎡당 표준지공시지가 가격수준을 집계한 표입니다. 아래의 경기 고양 덕양 지역 [표]는 국토교통부에서 감정평가사에게 의뢰하여 조사한 2020년 표준지공시지가 50만 필지를 분석한 결과입니다.
[표 6]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읍면동별 주요 토지이용용도별 공시지가 수준 대비표 (단위 : 천원/㎡)
읍면동명 |
주거용 |
상업용 |
주상용 |
공업용 |
농업용 |
임업용 |
기타 |
강매동 |
1,002 |
- |
- |
- |
237 |
36 |
455 |
고양동 |
1,512 |
1,827 |
688 |
- |
185 |
34 |
141 |
관산동 |
825 |
2,067 |
2,000 |
574 |
153 |
23 |
- |
내곡동 |
1,144 |
- |
- |
- |
207 |
54 |
- |
내유동 |
566 |
1,820 |
1,450 |
450 |
166 |
37 |
32 |
대자동 |
591 |
855 |
1,100 |
675 |
168 |
13 |
- |
대장동 |
1,038 |
- |
- |
- |
210 |
- |
- |
덕은동 |
999 |
1,643 |
1,508 |
1,432 |
473 |
35 |
- |
도내동 |
2,084 |
2,772 |
2,109 |
852 |
290 |
59 |
100 |
동산동 |
1,584 |
2,087 |
2,085 |
1,550 |
433 |
25 |
59 |
벽제동 |
634 |
1,178 |
- |
320 |
167 |
25 |
75 |
북한동 |
431 |
- |
- |
- |
28 |
7 |
- |
삼송동 |
2,428 |
2,973 |
1,966 |
- |
- |
43 |
- |
선유동 |
438 |
- |
- |
- |
142 |
15 |
- |
성사동 |
1,933 |
2,944 |
1,931 |
- |
249 |
77 |
- |
신원동 |
2,143 |
2,327 |
1,720 |
- |
178 |
30 |
94 |
신평동 |
917 |
- |
- |
- |
149 |
- |
- |
오금동 |
1,168 |
1,405 |
- |
- |
190 |
22 |
- |
용두동 |
1,205 |
2,500 |
1,661 |
910 |
328 |
23 |
- |
원당동 |
701 |
- |
964 |
704 |
169 |
46 |
96 |
원흥동 |
948 |
3,710 |
2,382 |
- |
332 |
69 |
95 |
주교동 |
1,764 |
2,490 |
1,881 |
- |
279 |
69 |
- |
지축동 |
1,698 |
2,038 |
1,300 |
- |
403 |
13 |
- |
토당동 |
2,003 |
2,863 |
2,151 |
- |
176 |
145 |
- |
행신동 |
2,119 |
4,053 |
2,225 |
1,500 |
314 |
88 |
- |
행주내동 |
933 |
1,850 |
1,723 |
- |
261 |
34 |
- |
행주외동 |
1,017 |
1,812 |
1,388 |
- |
162 |
44 |
- |
향동동 |
1,504 |
1,888 |
1,338 |
- |
373 |
32 |
- |
현천동 |
1,098 |
1,630 |
- |
928 |
204 |
72 |
153 |
화전동 |
1,349 |
2,065 |
2,115 |
- |
342 |
28 |
- |
화정동 |
2,302 |
5,930 |
2,332 |
- |
227 |
86 |
5,050 |
효자동 |
858 |
- |
1,315 |
- |
335 |
9 |
- |
주1) 평균공시지가 : 각 표준지의 면적을 가중치로 적용하여 계산한 가중평균값
주2) 주상용 : “토지이용상황구분”표에서의 주ㆍ상복합용 토지를 말함
주3) 농업용 : “토지이용상황구분”표에서의 ‘전’과 ‘답’ 토지를 말함
주4) 기타 : “토지이용상황구분”표에서의 ‘특수토지’과 ‘공공용지 등’ 토지를 말함
주5) 토지이용상황구분 : 「2020년 표준지공시지가 조사ㆍ평가 업무요령」 기준
이 부동산정보는 세계사이버대학 부동산금융자산학과 수업 과정에 포함된 부동산투자 실무 중 부동산시장 분석(지역분석) 등에 활용할 목적으로 작성한 것이며, 표에 포함된 각 지역의 위치는 첨부된 행정구역도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기타 “토지이용상황구분”표 등 표의 해석과 관련된 상세한 참고자료는 본 블로그 기초자료 메뉴에 등록했습니다.
'부동산 가격분석 > 지가 수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읍면동별 지가 수준 및 전국 순위 - 2020년 (0) | 2021.05.06 |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읍면동별 지가 수준 및 전국 순위 - 2020년 (0) | 2021.05.06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상세 토지 이용 현황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1.05.02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읍면동별 용도지역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1.05.02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상세 용도지역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1.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