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월 1일 현재 대전광역시 동구에 있는 모든 토지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상세 용도지역별 ㎡당 표준지공시지가 가격수준을 집계하고 상호 비교한 표입니다. 아래의 대전 동구 지역 [표]는 국토교통부에서 감정평가사에게 의뢰하여 조사한 2020년 표준지공시지가 50만 필지를 분석한 결과입니다.
[표 3] 대전시 동구 상세 용도지역별 공시지가 비교표
구분 |
평균공시지가 (원/㎡) |
공시지가 순위 |
주거지역 대비 배수 |
공시 필지 수 (필) |
||
도시지역 |
주거지역 평균 |
924,594 |
7 |
1.000 |
827 |
|
|
제1종전용주거지역 |
- |
- |
- |
0 |
|
제2종전용주거지역 |
- |
- |
- |
0 |
||
제1종일반주거지역 |
643,466 |
10 |
0.696 |
122 |
||
제2종일반주거지역 |
863,596 |
8 |
0.934 |
450 |
||
제3종일반주거지역 |
1,034,068 |
6 |
1.118 |
255 |
||
준주거지역 |
1,620,726 |
2 |
1.753 |
25 |
||
상업지역 평균 |
1,510,129 |
3 |
1.633 |
235 |
||
|
중심상업지역 |
- |
- |
- |
0 |
|
일반상업지역 |
2,121,142 |
1 |
2.294 |
219 |
||
근린상업지역 |
1,216,415 |
4 |
1.316 |
10 |
||
유통상업지역 |
512,941 |
11 |
0.555 |
6 |
||
공업지역 평균 |
777,663 |
9 |
0.841 |
7 |
||
|
전용공업지역 |
- |
- |
- |
0 |
|
일반공업지역 |
304,984 |
12 |
0.330 |
4 |
||
준공업지역 |
1,092,102 |
5 |
1.181 |
3 |
||
녹지지역 평균 |
18,865 |
19 |
0.020 |
483 |
||
|
보전녹지지역 |
21,867 |
18 |
0.024 |
2 |
|
생산녹지지역 |
- |
- |
- |
0 |
||
자연녹지지역 |
100,980 |
14 |
0.109 |
134 |
||
개발제한구역 |
8,571 |
20 |
0.009 |
347 |
||
관리지역 |
평균 |
59,297 |
16 |
0.064 |
47 |
|
|
보전관리지역 |
32,465 |
17 |
0.035 |
27 |
|
생산관리지역 |
75,900 |
15 |
0.082 |
4 |
||
계획관리지역 |
125,445 |
13 |
0.136 |
16 |
||
농림지역 |
2,283 |
22 |
0.002 |
9 |
||
자연환경보전지역 |
4,658 |
21 |
0.005 |
16 |
주1) 평균공시지가 : 각 표준지의 면적을 가중치로 적용하여 계산한 가중평균값
주2) 주거지역 대비 배율 : 용도지역별 평균공시지가 ÷ 주거지역 평균 공시지가
주3) 용도지역 종류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6조 참조
이 부동산정보는 세계사이버대학 부동산금융자산학과 수업 과정에 포함된 부동산투자 실무 중 부동산시장 분석(지역분석) 등에 활용할 목적으로 작성한 것이며, 표에 포함된 각 지역의 위치는 첨부된 행정구역도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기타 표의 해석과 관련된 상세한 참고자료는 본 블로그 기초자료 메뉴에 등록했습니다.
'부동산 시장분석 > 지역 아파트 현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전시 동구 상세 토지 이용 현황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1.02.08 |
---|---|
대전시 동구 읍면동별 용도지역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1.02.08 |
대전시 동구 읍면동별 지가 수준 및 전국 순위 - 2020년 (0) | 2021.02.08 |
충청남도 예산군 읍면별 가장 비싼(최고가) 아파트 정보 - 2020년 (0) | 2021.02.06 |
충청남도 예산군 읍면별 ㎡당 단가가 가장 높은 아파트 정보 - 2020년 (0) | 2021.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