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월 1일 현재 대구광역시 북구 31개 읍면동에 소재한 토지를 현재의 토지 이용 현황별(7개 대분류)로 구분하여 평균한 ㎡당 표준지공시지가 가격수준을 집계한 표입니다. 아래의 대구 북구 지역 [표]는 국토교통부에서 감정평가사에게 의뢰하여 조사한 2020년 표준지공시지가 50만 필지를 분석한 결과입니다.
[표 6] 대구시 북구 읍면동별 주요 토지이용용도별 공시지가 수준 대비표 (단위 : 천원/㎡)
읍면동명 |
주거용 |
상업용 |
주상용 |
공업용 |
농업용 |
임업용 |
기타 |
검단동 |
582 |
690 |
1,169 |
831 |
320 |
95 |
- |
고성동1가 |
912 |
1,720 |
1,405 |
- |
- |
- |
- |
고성동2가 |
815 |
1,894 |
1,445 |
1,050 |
- |
- |
- |
고성동3가 |
1,227 |
2,027 |
1,366 |
1,182 |
- |
- |
- |
관음동 |
1,193 |
1,668 |
905 |
408 |
84 |
5 |
- |
구암동 |
1,396 |
1,819 |
1,065 |
- |
92 |
4 |
- |
국우동 |
1,040 |
1,062 |
1,721 |
550 |
95 |
5 |
- |
금호동 |
501 |
1,530 |
911 |
- |
80 |
4 |
- |
노곡동 |
460 |
- |
760 |
- |
50 |
5 |
- |
노원동1가 |
972 |
1,779 |
1,207 |
1,226 |
- |
- |
- |
노원동2가 |
853 |
1,898 |
1,251 |
1,080 |
- |
- |
- |
노원동3가 |
975 |
1,967 |
1,498 |
1,300 |
- |
- |
1,740 |
대현동 |
1,064 |
2,070 |
1,294 |
- |
- |
- |
- |
도남동 |
461 |
1,300 |
- |
- |
71 |
4 |
- |
동변동 |
663 |
1,782 |
1,139 |
595 |
102 |
4 |
- |
동천동 |
906 |
2,217 |
1,305 |
- |
- |
- |
- |
동호동 |
511 |
- |
- |
433 |
111 |
4 |
- |
매천동 |
570 |
1,312 |
816 |
650 |
52 |
6 |
- |
복현동 |
1,279 |
2,037 |
1,486 |
- |
210 |
55 |
- |
사수동 |
1,095 |
1,282 |
1,065 |
- |
62 |
5 |
- |
산격동 |
938 |
1,491 |
1,149 |
984 |
115 |
47 |
- |
서변동 |
1,183 |
1,692 |
1,071 |
- |
162 |
6 |
- |
연경동 |
904 |
1,524 |
721 |
- |
109 |
2 |
- |
읍내동 |
1,334 |
1,819 |
969 |
315 |
95 |
13 |
- |
조야동 |
406 |
- |
792 |
480 |
46 |
4 |
- |
칠성동1가 |
736 |
2,961 |
1,131 |
- |
- |
- |
- |
칠성동2가 |
1,229 |
2,235 |
1,262 |
1,130 |
- |
- |
- |
침산동 |
1,770 |
1,937 |
1,225 |
1,164 |
59 |
45 |
- |
태전동 |
1,097 |
1,509 |
1,021 |
- |
68 |
9 |
250 |
팔달동 |
696 |
1,304 |
- |
480 |
147 |
6 |
- |
학정동 |
734 |
1,287 |
1,096 |
485 |
436 |
- |
- |
주1) 평균공시지가 : 각 표준지의 면적을 가중치로 적용하여 계산한 가중평균값
주2) 주상용 : “토지이용상황구분”표에서의 주ㆍ상복합용 토지를 말함
주3) 농업용 : “토지이용상황구분”표에서의 ‘전’과 ‘답’ 토지를 말함
주4) 기타 : “토지이용상황구분”표에서의 ‘특수토지’과 ‘공공용지 등’ 토지를 말함
주5) 토지이용상황구분 : 「2020년 표준지공시지가 조사ㆍ평가 업무요령」 기준
이 부동산정보는 세계사이버대학 부동산금융자산학과 수업 과정에 포함된 부동산투자 실무 중 부동산시장 분석(지역분석) 등에 활용할 목적으로 작성한 것이며, 표에 포함된 각 지역의 위치는 첨부된 행정구역도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기타 “토지이용상황구분”표 등 표의 해석과 관련된 상세한 참고자료는 본 블로그 기초자료 메뉴에 등록했습니다.
'부동산 가격분석 > 지가 수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시 서구 읍면동별 지가 수준 및 전국 순위 - 2020년 (0) | 2020.10.01 |
---|---|
대구시 서구 읍면동별 지가 수준 및 전국 순위 - 2020년 (0) | 2020.10.01 |
대구시 북구 상세 토지 이용 현황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0.09.28 |
대구시 북구 읍면동별 용도지역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0.09.28 |
대구시 북구 상세 용도지역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0.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