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월 1일 현재 부산광역시 중구 40개 읍면동에 소재한 토지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상 7개 대표적인 용도지역별로 ㎡당 표준지공시지가 가격수준을 집계한 표입니다. 아래의 부산 중구 지역 [표]는 국토교통부에서 감정평가사에게 의뢰하여 조사한 2020년 표준지공시지가 50만 필지를 분석한 결과이며, 각 용도지역별 가격수준은 용도지역별 표준지의 면적을 가중치로 적용하여 계산한 가중평균값입니다.
[표 4] 부산시 중구 읍면동별 주요 용도지역별 공시지가 수준 대비표 (단위 : 천원/㎡)
읍면동명 |
도시지역 |
관리지역 |
농림지역 |
자연환경보전지역 |
|||
주거지역 |
상업지역 |
공업지역 |
녹지지역 |
||||
광복동1가 |
- |
13,667 |
- |
- |
- |
- |
- |
광복동2가 |
- |
19,169 |
- |
- |
- |
- |
- |
광복동3가 |
- |
9,874 |
- |
- |
- |
- |
- |
남포동1가 |
- |
5,486 |
- |
- |
- |
- |
- |
남포동2가 |
- |
10,731 |
- |
- |
- |
- |
- |
남포동3가 |
- |
25,008 |
- |
- |
- |
- |
- |
남포동4가 |
- |
7,600 |
1,660 |
- |
- |
- |
- |
남포동5가 |
- |
13,645 |
- |
- |
- |
- |
- |
남포동6가 |
- |
7,463 |
- |
- |
- |
- |
- |
대창동1가 |
- |
2,969 |
- |
- |
- |
- |
- |
대창동2가 |
- |
3,388 |
- |
- |
- |
- |
- |
대청동1가 |
1,014 |
2,514 |
- |
- |
- |
- |
- |
대청동2가 |
1,321 |
5,648 |
- |
- |
- |
- |
- |
대청동3가 |
- |
5,416 |
- |
- |
- |
- |
- |
대청동4가 |
974 |
1,643 |
- |
26 |
- |
- |
- |
동광동1가 |
- |
6,954 |
- |
- |
- |
- |
- |
동광동2가 |
- |
4,212 |
- |
- |
- |
- |
- |
동광동3가 |
- |
3,728 |
- |
370 |
- |
- |
- |
동광동4가 |
- |
3,062 |
- |
- |
- |
- |
- |
동광동5가 |
1,350 |
1,595 |
- |
- |
- |
- |
- |
보수동1가 |
806 |
3,403 |
- |
- |
- |
- |
- |
보수동2가 |
- |
2,188 |
- |
- |
- |
- |
- |
보수동3가 |
- |
2,207 |
- |
- |
- |
- |
- |
부평동1가 |
- |
6,965 |
- |
- |
- |
- |
- |
부평동2가 |
- |
5,767 |
- |
- |
- |
- |
- |
부평동3가 |
- |
3,608 |
- |
- |
- |
- |
- |
부평동4가 |
- |
2,720 |
- |
- |
- |
- |
- |
신창동1가 |
- |
9,938 |
- |
- |
- |
- |
- |
신창동2가 |
- |
6,114 |
- |
- |
- |
- |
- |
신창동3가 |
- |
6,182 |
- |
- |
- |
- |
- |
신창동4가 |
- |
6,965 |
- |
- |
- |
- |
- |
영주동 |
882 |
1,583 |
- |
43 |
- |
- |
- |
중앙동1가 |
- |
4,285 |
- |
- |
- |
- |
- |
중앙동2가 |
- |
5,683 |
- |
- |
- |
- |
- |
중앙동3가 |
- |
4,877 |
- |
- |
- |
- |
- |
중앙동4가 |
- |
3,504 |
1,630 |
- |
- |
- |
- |
중앙동5가 |
- |
4,735 |
- |
- |
- |
- |
- |
중앙동6가 |
- |
6,883 |
- |
- |
- |
- |
- |
창선동1가 |
- |
24,381 |
- |
- |
- |
- |
- |
창선동2가 |
- |
18,882 |
- |
- |
- |
- |
- |
주) 용도지역 종류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6조 참조
이 부동산정보는 세계사이버대학 부동산금융자산학과 수업 과정에 포함된 부동산투자 실무 중 부동산시장 분석(지역분석) 등에 활용할 목적으로 작성한 것이며, 표에 포함된 각 지역의 위치는 첨부된 행정구역도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기타 표의 해석과 관련된 상세한 참고자료는 본 블로그 기초자료 메뉴에 등록했습니다.
'부동산 가격분석 > 지가 수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시 중구 읍면동별 토지이용상태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0.09.10 |
---|---|
부산시 중구 상세 토지 이용 현황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0.09.10 |
부산시 중구 상세 용도지역별 지가 수준 - 2020년 (0) | 2020.09.10 |
부산시 중구 읍면동별 지가 수준 및 전국 순위 - 2020년 (0) | 2020.09.10 |
부산시 중구 읍면동별 지가 수준 및 전국 순위 - 2020년 (0) | 2020.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