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월 1일 현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의 아파트가 있는 33개 읍면동별 (법정동) 아파트 중 가장 큰(전용면적이 가장 넓은) 아파트 목록입니다.
아래 제주 제주 지역 현황표는 한국감정원에서 조사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공표한 2019년 공동주택공시가격 정보(95,244,841건)을 분석하여 작성한 것으로, 부동산투자나 감정평가, 중개 활동 등을 위한 아파트 시장분석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표 ] 제주도 제주시 읍면동별 전용면적이 가장 큰(넓은) 아파트 (2019.1.1 기준)
지역명 |
전용면적 (㎥) |
주소 |
아파트단지 |
공시가격 (만원) |
같은 면적 세대수 |
건입동 |
150.69 |
1120번지 |
청은환타지아 |
19,600 |
6 |
노형동 |
193.26 |
1274-9번지 |
신제주빌리지 |
39,200 |
2 |
도남동 |
223.06 |
74-4번지 |
도남월드하우스 |
39,200 |
1 |
도두일동 |
84.01 |
2619-1번지 |
도두네오하임(주상복합A동) |
23,400 |
64 |
도련이동 |
84.36 |
548번지 |
제주삼화사랑으로부영1차 |
25,200 |
172 |
도련일동 |
122.77 |
1731-14번지 |
도련한양(도련별장맨션) |
11,700 |
7 |
봉개동 |
84.92 |
1537-1번지 |
SM상명예다움 |
20,800 |
6 |
삼도이동 |
152.66 |
1241-14번지 |
동인스파월드빌 |
26,300 |
5 |
삼도일동 |
182.28 |
788-6번지 |
영남화이트빌(가동) |
22,500 |
3 |
삼양이동 |
108.69 |
2180-16번지 |
한양 |
11,400 |
5 |
삼양일동 |
112.47 |
1601-11번지 |
삼부장미(가동) |
11,500 |
5 |
아라일동 |
133.50 |
6121번지 |
아라아이파크(아라지구) |
57,600 |
28 |
연동 |
191.22 |
279-2번지 |
벽강하이본타워 |
42,000 |
1 |
오라이동 |
84.99 |
1365번지 |
헤르지아 |
19,500 |
6 |
오라일동 |
84.70 |
1085-4번지 |
신화위더스빌더샵(29차) |
30,000 |
20 |
외도이동 |
93.71 |
250-22번지 |
바로 |
10,800 |
11 |
외도일동 |
189.97 |
436-7번지 |
에코그린빌5차 |
33,200 |
1 |
용담삼동 |
163.02 |
505번지 |
용두암현대1 |
24,000 |
14 |
용담이동 |
179.36 |
632-2번지 |
서림아이빌 |
28,700 |
1 |
용담일동 |
107.60 |
251-23번지 |
덕진어울림(A동) |
18,500 |
9 |
월평동 |
197.09 |
747번지 |
제주첨단 꿈에그린 3단지 아파트 |
55,200 |
6 |
이도이동 |
178.21 |
325-7번지 |
성우 |
34,200 |
1 |
이도일동 |
196.30 |
1536-1번지 |
공간아트빌 |
31,200 |
1 |
이호이동 |
84.97 |
113-2번지 |
이호엘리시아아파트 |
21,500 |
8 |
일도이동 |
171.02 |
394-21번지 |
서진아트빌 |
33,800 |
1 |
일도일동 |
103.55 |
1098번지 |
정한 |
10,700 |
15 |
화북이동 |
123.52 |
4960-1번지 |
제동해피죤 |
21,500 |
7 |
화북일동 |
163.78 |
1982-10번지 |
화북베스트빌 |
18,400 |
1 |
구좌읍 |
84.52 |
세화리 3647 |
라메르힐 |
23,100 |
1 |
애월읍 |
98.03 |
애월리 423-5 |
리움아파트 |
20,800 |
1 |
조천읍 |
84.99 |
신촌리 1789-1 |
라스위트 |
25,200 |
27 |
한경면 |
81.87 |
고산리 2715 |
늘푸른펠리스 |
20,600 |
12 |
한림읍 |
149.79 |
옹포리 283 |
한림 오션캐슬 아파트 |
39,200 |
1 |
이 부동산정보는 세계사이버대학 부동산금융자산학과 수업 과정에 포함된 부동산투자 실무 중 부동산시장 분석(지역분석) 등에 활용할 목적으로 작성한 것이며, 표에 포함된 각 지역의 위치는 첨부된 행정구역도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기타 각 지역별 아파트 가격 수준을 상호 비교한 결과, 연립주택(빌라)과 다세대주택의 가격 수준 등은 본 블로그 “아파트가격 수준”에 별도로 수록되었으며, 표의 해석과 관련된 상세한 참고자료는 본 블로그 기초자료 메뉴에 등록했습니다.
'부동산 시장분석 > 지역 아파트 현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제주도 제주시 읍면동별 가장 비싼(최고가) 아파트 정보 (0) | 2020.04.05 |
---|---|
2019년 제주도 제주시 읍면동별 ㎡당 단가가 가장 높은 아파트 정보 (0) | 2020.04.05 |
2019년 제주도 제주시 읍면동별 아파트 시장 기초 현황 (0) | 2020.04.05 |
2019년 제주도 서귀포시 읍면동별 가장 비싼(최고가) 아파트 정보 (0) | 2020.04.05 |
2019년 제주도 서귀포시 읍면동별 ㎡당 단가가 가장 높은 아파트 정보 (0) | 2020.04.05 |